ⓛ 고분자란 무엇인가?
고분자는 매우 큰 분자로 구성된 화합물을 말합니다.
이러한 화합물은 반복되는 단위 구조인 모노머가 많이 결합하여 형성됩니다.
고분자는 주로 탄소, 수소, 산소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입니다. 그러나 몇몇 무기물질도 고분자가 될 수 있습니다.
고분자는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지며, 우리 일상에서 많은 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고무, 섬유, 수지 등이 있습니다. 고분자는 일반적으로 선형 형태로 연결되어 있지만, 분자 사이에 발생하는 반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구조와 특성은 고분자의 종류와 반응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고분자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그들의 유연성과 강도입니다. 일부 고분자는 매우 강한 결합을 가지고 있어 튼튼하고 강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고분자는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어서 우리가 흔히 보는 고무와 같은 소재로 사용됩니다. 또한 고분자는 여러 가지 특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분자에 다양한 첨가제를 혼합하여 특정 용도에 맞게 속성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산업 분야에서 많은 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고분자는 자기 조립 능력이 있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선형 구조뿐만 아니라 가지 형태, 망 형태, 꼬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고분자의 성질과 응용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고분자는 그들의 반응성과 가공성도 중요한 특성입니다. 고분자는 다양한 화학반응을 통해 다른 화합물과 결합하거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고분자를 활용하는 데에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고분자는 주로 열가소성 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주입 성형,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등 다양한 가공 공정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고분자는 반복되는 단위로 이루어진 매우 큰 분자로, 우리 일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유기 또는 무기 물질입니다. 그들은 강도, 유연성, 특성 조절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② 고분자의 장점
(1)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고 있으며, 충격에 강하다.
(2)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며,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3) 성형가공이 용이하므로 복잡한 형상의 제품생산이 가능하다.
(4) 내열성이 좋고, 단열효과가 커서 보온·보냉재로 적합하다.
(5) 가볍고 유연하며, 착색이 자유롭다.
(6)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③ 고분자의 단점
(1) 수분 흡수율이 높아 흡습성이 크다.
(2) 햇빛에 의한 변색되기 쉬우며, 산성에 약하다.
(3) 고온에서 분해되거나 연소될 위험이 있다.
(4) 접착제로서의 성능이 떨어진다.
(5) 정전기 발생이 쉽다.
④ 고분자의 활용 분야
(1) 생활용품: 의류, 침구류, 의료용구, 포장자재, 건축자재, 스포츠용품, 자동차부품, 완구류 등
(2) 공업용품: 각종 용기, 필름, 파이프, 전선, 도료, 접착제, 페인트, 잉크, 윤활유, 세제, 약품용기 등
(3) 농업용품: 농약병, 비료포대, 농기구, 어망, 로프, 그물, 천막, 인조잔디 등
(4) 토목건축용품: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유리, 타일, 벽돌, 기와, 목재, 합판, 스티로폼, 우레탄, 방수시트 등
(5) 전기전자용품: 전자부품, 컴퓨터 부품, 스피커, 라디오, 텔레비전, 전화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모니터, 비디오테이프, CD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휴대폰, 케이블, 커넥터, 콘덴서, 트랜지스터, 릴레이, 스위치, 변압기, 코일, 저항기,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액정디스플레이, 광섬유케이블, 태양전지판 등
(6) 기타: 포장재, 완충재, 방음재, 방화재, 필터, 실란트, 코팅제, 접착제, 계면활성제, 첨가제, 촉매, 염료, 안료, 향료, 색소, 제지코팅원료, 세정제, 발포제, 인쇄잉크, 식품첨가물, 의약품, 연료, 이온교환수지, 방사성폐기물처리제 등
'고분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고분자 소개 - 폴리스티렌 (Polystyrene) (0) | 2023.05.21 |
---|---|
5. 고분자 소개 -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0) | 2023.05.20 |
4. 고분자 소개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0) | 2023.05.20 |
3. 고분자 소개 - 폴리 프로필렌 (Polypropylene) (0) | 2023.05.19 |
2. 고분자 소개 - 폴리 에틸렌 (Poly ethylene) (0)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