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분자 이야기43

분자량의 정의 / 분자량의 종류 - 수평균,중량평균 분자량 ■ 분자량이란 무엇인가? 분자량은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들의 질량을 합산한 값으로, 분자의 크기와 질량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특성입니다. 분자량은 화학적인 반응, 물리적인 성질, 재료의 가공 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원자량 또는 질량 단위로 표현됩니다. 분자량은 분자의 구조와 크기, 화학성질, 물리적 특성 등에 영향을 줍니다. 다양한 분자량의 종류가 있지만, 주요한 분자량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상대 분자량 (Relative Molecular Mass) 상대 분자량은 특정 분자의 분자량을 비교 기준으로 하는 값입니다. 대부분의 화학식은 원자들의 상대 질량을 고려하여 상대 분자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소를 1로 정한 경우, 다른 .. 2023. 7. 17.
38. 고분자 소개 - ETFE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① ETFE (Ethylene Tetrafluoroethylene)란? ETFE (Ethylene Tetrafluoroethylene)는 고분자 소재로서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입니다. ETFE의 개발과 역사는 1970년대 초기에 시작되었습니다. ETFE는 초기에 Dupont 사에서 개발되었으며, Tefzel®과 같은 상표로 출시되었습니다. 개발 당시 ETFE는 다른 열가소성 고분자인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보다 가공이 용이하고, 전기 절연성과 화학 저항성이 우수하며, 더 낮은 유리전이 온도를 가지는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ETFE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건축 및 건설: ETFE는 건물 외벽,.. 2023. 7. 14.
37. 고분자 소개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① PVDF (Polyvinylidene fluoride)란? PVDF (Polyvinylidene fluoride)의 개발과 역사는 196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Dupont 사에서 개발되었으며, 그 후로도 여러 기업과 연구 기관에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었습니다. PVDF의 개발은 초기에는 주로 전기 절연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전기 및 전자 기기에서 필요한 우수한 전기 절연성과 내식성을 제공하는 소재로서의 잠재력이 인식되었습니다. 초기에는 PVDF의 상업적인 생산 및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1960년대 후반부터 제조 공정과 기술이 발전되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습니다. PVDF는 그 이후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화학 산업에서는 내식성이 뛰어난.. 2023. 7. 4.
36. 고분자 소개 - PFA (Perfluoroalkoxy) ① PFA (Perfluoroalkoxy)란? PFA (Perfluoroalkoxy)는 특수한 유기 고분자 소재로, 개발 배경과 다양한 용도를 갖고 있습니다. PFA는 Teflon의 파생물로써, PTFE (Polytetrafluoroethylene)와 유사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FA는 196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으며, PTFE와 비교하여 더 높은 열안정성과 가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다양한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 화학 산업: PFA는 극한의 화학적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화학 물질에 대해 내성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PFA는 화학 산업에서 용매, 산, 알칼리 및 강산류와 접촉하는 부분에 사용됩니다. 화학 관련 장비, 파이프, 밸.. 2023. 6. 27.